카테고리 없음

인지 심리학적 접근으로서의 언어 이해

프로스트Q 2023. 7. 18. 18:34

 

분류 내용
지각 심리학
(Perceptual Psychology)
시각, 청각과 그 밖의 감각이 어떻게 외부 환경으로부터 뇌로 수용되는지를 연구하는 분야


일반인들의 심리학에 대한 역사(흔히 정신 분석학과 관련된)와는 다르게, 지각 심리학이야말로 오랜 역사를 가진 심리학 분야이다.


유클리드와 아리스토텔레스도 연구하였다.
인지 심리학
(Cognitive Psychology)
지각 과정에서 받아들인 정보가 학습, 기억, 주의 등의 처리 과정을 통해 어떻게 심리적으로 가공되고 행동으로 표출되는지의 총체적 사고 및 정보 처리 과정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지식 획득 방법과 획득 지식의 구조화 및 축적 메커니즘이 연구 대상이다.

 

 

아래는 관련한 모형이나 이해 방식들이다.

행동주의 S → [x] → R(Stimulation, Response)
는 알고리즘이다.
계산주의 / 기호 모형 표상과 법칙, 연속 처리 그리고 지각-생각-행동 사이클에 의한 정보 처리 체계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특화된 전문가의 기능만 가지며 창조적 발상에 의한 다른 행동 “커피 사 마시기”는 불가능하다.
연결주의 / 하위 기호 모형 별 의미 없는 신경망의 수많은 신호 전달과 처리에 따라 의미를 형성해 나가는 체계이다. 언어나 개념의 분류 같은 복잡한 사고에는 오히려 뛰어나며, 기호 모형과는 달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전식 주입 없이도 학습이 가능하기에 설득력이 있다.
체화된 인지 모형 ★ 계산 과정만을 중심으로 설명한 신경 과학 기반의 기존 입장들과는 달리 두뇌 등 중추 신경계뿐만 아닌 말초 신경계를 포괄한 전체 신경계가 총체적으로 마음의 작동에 관여한다는 접근에 따른 입장이다.


가. 인간의 마음은 신경계 전체에 기반한다.
나. 인간의 마음에 기호화된 형태의 계산 단위나 표상 등의 개입 없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인(dynamic) 시스템으로서 설명하여야 한다.
분산된 인지 모형 신체와 상호 작용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변 환경마저도 사고의 한 부분이라는 접근이다.